2025/08/04 3

한국의 근현대 건축물과 도시재생의 연결고리

도시는 끊임없이 변하고, 건축은 그 변화의 가장 선명한 증거다. 화려한 고층 빌딩이 들어서고, 낡은 골목은 재개발이라는 이름 아래 철거되며 새로운 공간으로 바뀌어 간다. 그러나 이 도시의 격렬한 변화를 바라보며,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을 떠올려야 한다. “과거의 흔적은 모두 사라져야만 하는가?”근현대 건축물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가치를 품고 있다.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담은 관공서 건물, 산업화 시기의 노동자의 주거지, 교회와 학교, 여관과 상점들. 그것들은 단지 오래된 건물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낸 사람들의 삶과 정서, 문화와 기억이 축적된 공간이다.이제 우리는 이 근현대 건축물을 단순히 ‘보존할 것인가, 철거할 것인가’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야 한다. 대신 어떻게 도시재생과 연..

한국의 근현대 건축물 보존 사례 분석 – 일본과 비교

"이 건물, 철거 대상입니다. 낡고 쓸모가 없어요."한때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던 역사적 장소, 누구의 추억이 깃든 공간이 어느 날 예고도 없이 사라지는 장면을 우리는 너무도 익숙하게 마주한다. 특히 한국에서는 ‘근현대 건축물’이라는 이름 아래 존재했던 수많은 공간들이 개발이라는 논리에 밀려 흔적 없이 사라지고 있다.반면, 일본의 도심 한복판에서는 1930년대 상점이 현대 미술관으로 재탄생하고, 오래된 여관이 북카페로, 옛 관청이 지역 커뮤니티 센터로 쓰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같은 동아시아, 유사한 역사적 맥락을 공유하면서도 근현대 건축물을 대하는 태도와 전략은 분명하게 다르다.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근현대 건축물 보존 사례를 중심으로 양국이 취하는 보존 접근 방식, 정책적 차이, 지..

한국의 근현대 건축물 답사, 전라도 편

건축물은 그 자체로 시간이다. 콘크리트나 벽돌, 기와와 유리창으로 이루어진 외형은 단지 형태가 아니라, 그 안에 스며든 시대의 공기와 사람들의 숨결을 담고 있다. 특히 근현대 건축물은 일제강점기, 해방 후 혼란기, 산업화 시대를 지나며 우리 사회가 겪은 급격한 변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전라도는 대한민국 남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조선시대 전통 유산이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근현대 건축물의 밀도와 다양성 또한 놀라울 만큼 풍부한 지역이다.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 이주가 많았던 군산, 항구와 산업의 중심이었던 목포, 교통과 행정 중심지였던 나주와 광주 등은 역사의 변곡점마다 건축물을 통해 시대의 이야기를 담아냈다.이번 답사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나는 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