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현대 건축물은 단순히 과거의 건물이 아니라, 한국 사회가 겪어온 역사적 전환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은 문화 자산이다. 일제강점기 관사에서부터 해방 이후의 공공청사, 산업화 시기의 공장 건물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각각 한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재개발, 인구 감소, 지방 재정의 압박 등으로 인해 상당수 건축물이 제대로 된 관리나 등록조차 받지 못한 채 사라지고 있다.특히 근현대 건축물 보존은 중앙정부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각 지자체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근현대 건축물을 문화재 등록, 관광 자원화, 또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연계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접근 방식과 성과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